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는 본격 겨울 여행시즌을 맞아 세대를 아우르는 마음 따뜻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노래와 함께 떠나는 여행'을 테마로 12월 '추천 가볼만한 곳' 6곳을 선정했다. 노래와 함께할 때 더 뜻 깊은 여행지가 구석구석에 숨어있다. 특히 최근 식을 줄 모르는 레트로 열기를 따라 1980~90년대 초창기 대중가요에 얽힌 이야기를 찾아 경쾌한 발걸음을 옮겨 보는 것도 재미난 여정이 될듯 싶다.
김형우 관광전문 기자 hwkim@sportschosun.com
|
명곡은 길가에 따뜻한 추억과 그리움을 남긴다. 이문세가 부른 '광화문 연가'에는 정동길, 교회당, 덕수궁 돌담길이 등장한다. 광화문네거리에서 정동교회까지 연인과 거닐던 흔적에 대한 향수가 담겨 있다. '광화문 연가'는 작곡가 이영훈이 1988년 작사·작곡한 노래로 '광화문 연가'에 나오는 눈 덮인 예배당이 바로 정동제일교회다. 교회 건너편에는 이영훈의 노래비가 있으며, 낙엽 떨군 가로수와 옛 러시아 공사관, 아담한 찻집 등은 정동길에서 만나는 회상의 오브제다. '광화문 연가'의 길은 세월을 따라 많이 변했다. 영국대사관 옆으로 덕수궁 돌담 내부길이 개방됐고,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이 개관했으며, 구세군중앙회관은 정동1928아트센터로 다시 태어났다.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3층 정동전망대에 오르면 덕수궁과 정동길 일대가 훤히 내려다보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 있는 가수 신해철의 옛 작업실 주변으로 신해철거리가 조성됐다. 성남시와 팬들이 그를 추억할 수 있는 흔적과 마음을 모아 만든 곳으로, 신해철이 마이크를 잡고 앉은 동상을 중심으로 160m 정도 이어진다. 가수 인순이를 비롯해 여러 사람들이 생전의 그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글이 거리 바닥에 있고, 그가 쓴 노랫말도 나무 푯말에 새겨져 있다. 그가 곡을 만들었던 '신해철 스튜디오'에는 자취가 생생하다. 다양한 분야의 책이 꽂힌 책장이며, 무대의상, 피아노 등이 놓여 있다.
|
◆'춘천 가는 기차' 타고 '소양강 처녀'를 만나다-경춘선과 소양강( 강원 춘천시 공지로<춘천역> / 춘천시 영서로<소양강 처녀상>)
강원도 춘천을 대표하는 곡으로는 '소양강 처녀'와 '춘천 가는 기차'가 있다. 북한강을 따라 경춘선이 달릴 때 '춘천 가는 기차'가 불렸고, '소양강 처녀'는 소양강댐이 생기기 직전에 만들어진 노래다. 지금은 모두 추억이고 옛 풍경이 됐지만, 춘천과 낭만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노래로 남아 있다. 경춘선 종착역인 춘천역에 닿으면 매일 출발하는 시티투어버스가 춘천의 명소로 데려다주고, 춘천역에서 가까운 소양강 처녀상은 '소양강 처녀'를 추억하게 한다. 이웃한 소양강스카이워크는 춘천의 랜드마크가 된 지 오래다.
|
◆노래가 만든 전설-제천 박달재(충북 제천시 백운면 박달로)
충북 제천과 충주를 잇는 박달재는 예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박달재란 이름을 전 국민이 안 것은 1948년 발표된 노래 '울고 넘는 박달재' 덕분이다.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 님아(1절)"로 시작해 "한사코 우는구나 박달재의 금봉이야(2절)"로 끝나는 이 노래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며 영화와 악극으로도 만들어졌다. 노랫말에 나오는 금봉은 박달재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조선 중엽 박달재 아랫마을에 살던 금봉과 한양으로 과거 보러 가던 선비 박달의 사랑 이야기에서 박달재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현재 박달재에는 금봉과 박달의 전설을 형상화한 조각공원과 목각공원이 조성됐다.
|
◆민초의 애환이 서린 트로트를 찾아서,이난영공원, 한국트로트가요센터(전남 목포시 삼학로92번길<이난영공원> / 영암군 영암읍 기찬랜드로<한국트로트가요센터>)
2019년 혜성처럼 등장한 가수 송가인 덕분에 올 한 해 대한민국은 트로트 열풍이 한바탕 거세게 불었다. 트로트는 1930년 전후로 국내에서도 창작이 본격화됐고, 1935년 '목포의 눈물'에 이르러 그 형태가 정착됐다고 한다.
|
|
◆바람 부는 저 들길 끝-삼포로 가는 길(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강은철이 부른 '삼포로 가는 길'은 1983년에 나온 노래다. 배따라기의 이혜민이 작사·작곡했으며, 당시 큰 인기를 끌었다. 많은 이들이 삼포를 이상향으로 생각했지만, 실제로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마을이다. 이혜민이 삼포마을에 여행을 왔다가 반해 노랫말을 썼다. 지난 2008년 마을 초입에 '삼포로 가는 길' 노래비가 세워졌다. 앞면에 '삼포로 가는 길' 노랫말이, 뒷면에 이혜민이 쓴 수필 '내 마음의 고향 삼포'일부가 적혔다. 노래비 아래 음향 장치가 있어, 버튼을 누르면 '삼포로 가는 길'을 비롯해 그 시절 가요가 흘러나온다. 누가 찾을까 싶지만 옛 노래를 그리워해 찾는 이가 많다. '삼포로 가는 길'이 낯선 세대는 삼포마을 여행이 어떨까. 한적한 포구에 카페가 몇 군데 있어 커피 한잔하며 쉬기 좋다.
|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