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에너지 저장고'로도 불리는 중성지방은 그 자체로는 독성이 없어 인체에 크게 해롭지 않다. 하지만, 비만으로 너무 많아지면 콜레스테롤을 변형시켜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 췌장염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30~40대 남성층은 3명 중 1명은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추측되고 있어 중성지방 수치 관리가 필요하다.
▶HDL 콜레스테롤 감소시키고 LDL 콜레스테롤 변형 시켜 동맥경화 유발
중성지방은 적당히 있으면 문제 없지만 너무 많은 경우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정인경 교수는 "혈액의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혈관에 좋은 H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고, 혈관에 나쁜 LDL-콜레스테롤 입자를 작고 단단하게 변형시켜서 혈관을 잘 뚫고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고 동맥경화증을 유발해 뇌경색, 심근경색, 협심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3년 국제학술지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혈액의 중성지방이 88mg/dL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22%씩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비만·당뇨·대사증후군·만성콩팥병 환자는 특히 관리 필요
고중성지방혈증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혈액검사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중성지방 수치는 음식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12시간 이상 금식하고 채혈하는 것이 원칙이다. 중성지방 수치가 200mg/dL 이상인 경우, 생활 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 술이나 기름진 음식,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이 중성지방을 잘 올리며, 비만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중성지방이 높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기' 실천해야
중성지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식사요법, 운동요법, 체중조절의 생활습관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증상이나 고중성지방혈증의 정도에 따라 약물요법을 실시할 수 있어 전문의와 상담 후에 중성지방 조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정인경 교수는 "아무리 좋은 약을 처방받아도 식사나 운동 요법 없이는 고중성지방혈증의 관리는 어렵다. 하지만, 처음부터 무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은 오히려 의욕을 떨어뜨려 운동과 식사 조절 계획을 포기하게 만든다. 주 3회 무조건 헬스장에서 운동하기와 같은 무리한 계획보다는 이동할 때 에스컬레이터 대신 계단으로 이동하기, 술이나 지방 또는 탄수화물 많은 음식 줄이기 등 작은 계획부터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