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라식은 라식, 라섹을 밀어내고 최근 대세로 자리잡은 시력교정법이다.
대한안과학회를 통해 발표된 스마일라식의 안전성 관련 내용중 의미 있는 것 하나가 원추각막 위험성이 낮다는 것이다.
원추각막은 라식 등 시력교정술 이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수술을 하면 어쩔 수 없이 각막이 얇아진다.
필자의 병원에서는 약 2년간 수술을 받은 환자 중 라식 98안, 스마일라식 120안(총 218안, 109명)의 수술 전 후 각막 후면에서 가장 튀어나온 부분의 높이(MPE, Maximal Posterior Elevation)를 전안부 분석 정보를 통해 비교한 결과, 라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전보다 MPE가 1.10±2.12㎛(수술 전 7.46±2.59 ㎛, 수술 후 8.56±2.97㎛) 상승한데 비해 스마일라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0.75±2.33㎛(수술 전 7.11±2.61㎛, 수술 후 7.86±2.78㎛)로 소폭 상승한데 그쳤다.
각막 후면의 높이가 높을수록 각막 앞쪽이 튀어나오는 원추각막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 임상결과에 따르면 라식에 비해 스마일라식 후 원추각막 발병 가능성이 더 낮다고 볼 수 있다.
스마일라식은 펨토초(1000분의 1초) 레이저를 이용, 각막의 겉면을 투과해 각막속살만 교정한다. 이후 2~4㎜ 정도 각막을 절개한 작은 구멍으로 속살 조각을 꺼내 마무리한다. 일반적으로 24㎜ 가량 각막을 절개하는 라식이나 약물을 이용해 각막표면을 얇게 벗겨내는 라섹보다 각막 손상이 10분의 1이상 적다. 이렇게 시력교정을 받을 때 각막 손상이 적으면 적을수록 수술 후 남는 각막량이 많아져 충분히 안압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라식 라섹에 비해 스마일라식 수술 후 원추각막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최근에는 각막 손상을 더 줄이기 위해 스마일라식 절개창을 1~1.9㎜ 크기로 수술하는 방법도 자리를 잡았다. 스마일라식 수술을 할 때 각막 윗부분 두께는 0.11㎜정도로 매우 얇다. 넓고 얇게 잘라낸 각막조각을 1㎜의 미세 절개창으로 꺼내기 위해서는 좁은 절개창이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1㎜ 절개창이 수술과정을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미세 절개부 주변을 보강해 강도를 유지하는 특수 기술은 국내특허를 획득했다.
안경을 벗고 싶은 환자들의 열망에 따라 시력교정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수술 중 일정량 각막을 절개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정밀한 사전 검사를 통해 본인의 눈 상태를 파악한 뒤 가급적 각막손상을 줄일 수 있는 시력교정술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도움말=온누리스마일안과 김지선 원장
|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