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발생 한 후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몰리며 지방이 소멸될 위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위원이 국가통계포털의 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3~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가 2만7,500명으로, 전년 동기 1만2,80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수도권 유입인구의 75.5%가 20대였다. 20~24세가 43.4%(1만1,925명), 25~29세가 32.1%(8,816명)에 달한다.
이처럼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몰리며 지방소멸 위험도는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지역들은 경기도 여주시(0.467)와 포천시(0.499), 충북 제천시(0.457), 전남 무안군(0.488), 나주시 등 '시부'가 대거 포함됐다.
즉, 대부분의 '군부'는 이미 소멸위험단계 진입이 완료됐으며, 이제 '시부'의 소멸위험단계 진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인데,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했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산업과 지역에 따른 영향은 향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 체계도 산업과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김민재, 진짜 유럽 가? 새 에이전트 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