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경주를 온라인 스타트 방식으로 운영하는 만큼 모터에 대한 의존도가 어느 때보다 높아졌는데 지난 회차부터 2020년형 모터가 새로 도입됐다. 신형 모터에 대해 공지되어 있는 사전 자료는 지난 7월에 총 5회 측정한 기록이 있지만 당시와는 기온과 테스트한 선수들이 장착한 프로펠러가 많이 다른 만큼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면 되겠다.
현재 눈여겨봐야 하는 데이터는 당회 차 지정훈련 및 사전 스타트에서의 기록과 움직임이다. 지난 42회차 같은 경우에는 조성인(1번 모터)과 김지현(115번 모터), 김도휘(97번 모터)가 최상위권 랩타임을 기록하며 전체적인 흐름을 이끌었고 황만주(18번 모터)와 원용관(51번 모터), 한성근(30번 모터), 염윤정(53번 모터)도 가장 눈에 띄었다. 특히 원용관과 김도휘, 한성근 같은 경우에는 연승으로 장식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데뷔 후 입상이 전무했던 16기 막내 염윤정 또한 모터 기력을 십분 활용해 첫 2, 3착 진입에 성공했다.
16기 신인 레이스(1경주 고정) 공략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하겠는데 아직까지 전속 턴이나 전술 운영이 완성되지 않아 가속력에서 완벽하게 우위를 점하지 못하면 안쪽 경쟁 상대 압박에 미숙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인코스에 배정받은 전력들을 주목해야겠는데 시속 면에서 크게 밀리지 않는다면 바깥쪽 선수들이 휘감기나 공간을 파고들더라도 안쪽에서 버티거나 우승 자리까지 노릴 수 있어 꼼꼼하게 가능성을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임병준 쾌속정 예상분석 전문가는 "현재는 온라인 경주만 운영하고 있는 만큼 체중이 가벼운 선수와 배정받는 모터와의 궁합도 체크에 중점을 둬야겠다" 며 "앞으로 미사리 본장과 장외지점의 입장객 수가 확장되고 전체 경주수와 플라잉 스타트 경주도 부활하게 된다면 예전과 같이 여러 가지 추리 요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경정 팬들 또한 차근차근 시야를 넓혀가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