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성형외과 홍승은 교수가 총괄책임자로 참여하고 있는 '무세포 동종진피를 이용한 보형물 유방 재건술 연구회'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21년 산·학·연·병 공동연구회 운영지원사업'에 선정돼 연구를 시작했다.
유방암 환자 약 70%가 유방암 수술 이후 보형물을 이용해 가슴 재건을 하는데, 다양한 수술 방법 중 특히 '흉근 위 재건술(pre-pectoral)'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흉근 위 재건술이란 보형물을 유방 조직이 제거된 바로 그 자리에, 대흉근의 추가적 박리 없이 보형물을 삽입하는 것이다. 비교적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수술 후 보형물 변위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회는 흉근 위 재건술을 진행할 때 실제 피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무세포 동종 진피'를 적용해 가슴 재건술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지난해부터 연구하고 있다. 전년도에는 '무세포 동종 진피' 개선안 두 건을 제시해 이는 제품 개선으로 이어졌고, 그밖에 '무세포 동종 진피' 적용 가이드, 임상시험 프로토콜 초안을 마련하는 성과를 냈다.
연구회에는 국내 대표 '무세포 동종 진피' 제품 제조사인 시지바이오 및 이대목동병원을 비롯한 의료기관 5곳 의사 6인이 참여한다.
홍승은 교수는 "임상 전문의와 환자 모두를 위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고 안전하게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 개발이 필요하다"며 "산업 현장과 각 대학 병원 교수들이 벽을 허물고 한 마음으로 협력한다면 유방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