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과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들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해 체내에 흡입함으로써 흡연과 같은 효과를 내는 전자장치인 전자담배는 2007년 국내 도입된 후 일반담배보다 유해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있어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전자담배의 유행성 및 금연 효과에 대해 아직까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 결과 대다수의 흡연자들이 전자담배와 일반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흡연자(dual users)로 확인되었으며 복합흡연을 할 경우의 체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들 각각 흡연 패턴 분류군별로 니코틴 지표를 나타내는 '요 코티닌(urinary cotinine; Ucot)', 염증 지표인 '요산(uric acid; UA)'과 '고감도 C-반응 단백(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과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지표를 나타내는 체내 항산화 물질인 '엽산(folate)', '비타민 A, E' 등 각 군의 평균 농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총 연구 대상자 5191명 중 일반담배군은 940명(18.7%), 복합 흡연군은 110명(2.7%), 전자담배군은 23명(0.6%), 그리고 비흡연군은 4118명(78.0%)이었으며, 전체 전자담배 사용자 133명 중 복합 흡연자는 82.7%(110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82.7%의 대다수의 복합흡연자가 일반담배 또는 전자담배 흡연자 보다 체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지수가 더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별도로 2016년 전자담배 사용 경험이 있는 성인 204명을 대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를 조사 분석한 결과, 금연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Helpful for smoking cessation, 47.5%) 및 일반담배 흡연보다 상대적으로 유해성이 낮을 것이라는 인식(Less harmful than tobacco smoking, 23.6%)이 가장 주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조수현 교수는 "많은 흡연자들이 흡연량을 줄이려는 목적 또는 일반담배에 비해 덜 유해하다고 인식해 71.1%가 금연 및 유해성 감소의 목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응답했지만, 전자담배 사용자들의 80% 이상이 일반담배를 같이 사용하는 복합 흡연자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복합 흡연 시 기존 흡연량을 유지한 채 추가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경향이 높아 니코틴 및 다른 독성 물질에 오히려 과다 노출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어 조수현 교수는 "니코틴 대사물질인 코티닌과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을 촉진시키는 혈중 요산은 혈관내피세포 기능 부전을 유발해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니코틴, 염증, 산화스트레스 지표가 가장 높은 복합흡연이 일반담배 또는 전자담배 단독 흡연보다 더욱 유해한 것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에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적절한 금연교육과 복합흡연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조수현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대한가정의학회지(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