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멀쩡하다가도 가끔씩 가슴통증이 생긴다면 '협심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협심증은 보통 가슴 중앙이나 왼쪽에 통증이 생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쥐어짠다, 조인다, 뻐근하다, 누른다, 답답하다, 터질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통증은 왼쪽 팔이나 목, 턱, 등으로도 퍼진다.
조성우 일산백병원 순환기내과(심장혈관센터) 교수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생기는 협심증을 방치할 경우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는 심근경색으로 진행할 수 있다"며 "가슴통증 빈도가 잦아지고, 활동할 때뿐만 아니라 안정 시에도 증상이 발생하면 무시하지 말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질병관리청 자료 따르면 심근경색증 조기증상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 국민 중 48.7%(2018년)에 불과했다. 이에따라 사망률도 높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8년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환자가 3만2000명으로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를 기록했다. 94만 2000명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진료를 받았고, 1인당 진료비도 175만 원 가량 들었다.
조성우 교수는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이 있다"며 "이런 위험 관리를 위해 주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요하고, 진단되면 약물 치료 및 생활 습관 관리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심혈관질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기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이기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하기
4.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하기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하기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하기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기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하기
9. 뇌졸중, 심근경색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가기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