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혈액병원장 김희제)과 면역항암제 개발 기업 ㈜유틸렉스(공동 대표 권병세, 최수영)는 지난 8월 31일 'MVR(malignancy variant receptor, 악성 변이 수용체) CAR-T' 세포치료제 개발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CAR-T는 혈액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최신 면역 항암치료 방법으로 CAR-T의 핵심 구성 요소인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다. 혈액암을 포함한 암세포는 T 면역세포의 살상능력을 회피해 암 고유의 난치성을 갖추게 된다. CAR-T세포치료는 최신 세포공학 기술을 통해 T세포에 암세포를 인지하는 유전자(CAR, chimeric antigen receptor)를 발현하도록 하고 암세포가 T세포의 공격을 피하는 것을 막는다.
'MVR CAR-T'는 종양에서 과발현하는 HLA-DR(Human Leukocyte Antigen : 조직적합성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다. 기존 CD19 CAR-T 세포치료제는 종양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 B세포도 공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 폭풍' 부작용을 야기했다. MVR CAR-T 세포치료제는 정상세포는 공격하지 않으면서 암세포만 공격하기 때문에 부작용 위험이 현저하게 낮으면서, 사이토카인 분비도 적어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의 한계점을 보완했다.
이번 협약 및 연구를 이끌고 있는 혈액병원 박성수 교수는 "현재 림프종 및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에 사용되는 글로벌 제약회사의 CAR-T 제품은 매우 큰 의료비용을 발생시키고 있어, 국내 기술의 CAR-T가 절실한 상태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급성골수성백혈병, 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등의 질환을 겪는 국내 환자들에게 CAR-T 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틸렉스 최수영 대표이사는 "금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서 유틸렉스의 기술과 서울성모병원의 노하우 및 인프라가 접목되어 'MVR CAR-T' 임상과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혈액암 치료를 선도하고 있는 서울성모혈액병원은 국내 최초로 조혈모세포이식치료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혈액암세포 표지자들을 발굴하였고, 첨단재생의료로 분류되는 세포치료를 임상현장에서 적용해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