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아파트 정전 사고 전년 대비 30% 증가…"변압기 용량 부족 주원인"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1-09-09 11:20 | 최종수정 2021-09-09 11:26


올해 아파트 정전사고가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8월 전기재해를 집계한 결과,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총 312건의 정전사고가 발생했다고 9일 밝혔다. 전년 같은 기간 235건보다 33% 가량 늘어난 수치다. 특히 7월에 발생한 사고는 210건으로, 전체 67.3%에 달했다.

정전사고 원인으로는 아파트 단지 내 총 전력사용량이 변압기 용량을 초과해 차단기가 작동하거나 변압기·차단기 등이 노후화로 고장이 발생해 정전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여름철 폭염에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외출 자제, 재택근무 등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전력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과거와 비교해 인덕션,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소비전력이 큰 가전제품 보급이 늘어난 한몫 거들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1991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세대별 전력 사용 설계용량이 당시 기준인 1kW 수준에 불과해 최근 가구당 평균 전력 사용량(3~5kW)을 고려하면 정전사고의 가능성은 더욱 커질수 밖에 없다. 전체 공동주택 2만5132개 단지 중 세대별 설계용량이 3kW 미만인 공동주택은 7921개 단지로, 전체 약 32%를 차지했다.

산업부는 정전사고의 주원인인 변압기 용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주택 설계단계부터 적정한 변압기 용량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전기설비 안전기준인 '전기설비기술기준'을 개정해 공동주택 세대별 용량 기준을 마련하고, 변압기 운영상태 등에 대한 검사기준도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공동주택을 전기설비 안전 등급(A∼E 5등급) 대상으로 지정해 등급별로 중점관리할 예정이다. 정기검사 때 불합격 판정을 받은 공동주택은 '노후변압기 교체 지원 사업' 우선 대상으로 지정해 노후 변압기 교체를 지원한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