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을 흔히 천고마비의 계절이라고 말한다. 쌀쌀해지는 날씨에 에너지 소모량이 늘고, 제철을 맞은 영양가 높은 먹거리가 풍부해 식욕도 늘어난다. 늘어난 식욕에 자연스럽게 체중 증가를 고민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를 대비해 오래 잘 씹는 식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한입에 30번 이상 음식을 꼭꼭 씹어 먹으면 식욕 억제 호르몬이 작용해 포만감을 느끼고 과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음식을 씹는 행위 자체가 칼로리를 소모한다. 하지만 잘 씹기 위해서는 튼튼한 치아 건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구강질환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면 음식을 씹기 힘들어질 뿐만 아니라 면역력 저하, 영양불균형 등으로 전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을철 잘 씹고 잘 먹는데 필요한 치아 건강에 대해 고광욱 목포 유디치과의원 대표원장과 함께 정리했다.
▶가을에 찾아오기 쉬운 우울증, 면역력 떨어트리고 치통 유발
가을철 일조량 감소가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면역력을 떨어뜨려 구강건강을 악화할 수 있다. 면역력이 감소하면 잇몸질환을 유발하는 구강 내 세균이 늘어 잇몸질환이 악화하고 치통을 유발할 수 있다. 평소 잇몸 상태가 좋지 않으면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더욱이 계절성 우울증은 식욕이 왕성해지고 당 높은 음식을 찾는 경우가 많다. 달고 부드러운 식감의 음식을 선호하면서 씹는 힘이 더욱 약해지고, 당분이 치아 표면을 부식시켜 충치를 유발할 수 있다.
▶건조한 공기에 구강 세균 번식 활발
환절기에 건조한 공기는 침을 마르게 한다. 침은 입안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데, 침이 마르면 세균이 쉽게 번식해 충치, 잇몸병, 구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을 먹은 뒤 꼼꼼하게 양치질하는 것이 좋다. 최근 구강 세균 제거에 효과적인 변형바스법이 많이 활용된다. 칫솔모를 45도로 기울여 잇몸과 치아 사이에 밀착시킨 뒤, 제자리에서 5~10회 진동을 주고 손목을 이용해 잇몸에서 치아 방향으로 쓸어준다. 어금니 씹는 면도 꼼꼼히 닦는다. 양치질로 제거되지 않은 치아 표면의 세균 덩어리(치태)는 딱딱하게 굳어 치석으로 변해 잇몸병의 원인이 된다. 치석은 스케일링으로 제거 가능한데 1년에 1~2회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다.
고광욱 대표원장은 "과거 임플란트, 브릿지, 크라운 등 치료받았다면 보철물 주변, 내부에 세균이 번식해 보철물 수명을 단축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며 "검진 및 예방 치료로 치아 보철물 관리도 철저히 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