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군 내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문제 근절과 개선을 약속했지만, 정작 병사들이 정신질환·복무 부적응으로 병역처분이 변경되는 사례는 큰 폭으로 늘어 관련 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로 지난 2016년 대비 2020년 정신질환·복무 부적응의 사유로 병역처분이 변경된 육군 병사의 숫자는 약 19%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이 기간 해군과 공군, 해병대는 각각 241%와 158%, 215%라는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정신질환, 복무 부적응에 따라 병역처분이 변경된 전체 병사 중 육군을 제외한 공군·해군·해병대 인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4%(157명)에서 9.5%(469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은 "그간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군 관계자들 모두가 장병 근무환경 개선과 군내 부조리 척결을 약속했지만, 도리어 점점 더 많은 병사들이 군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라면서 "국방부와 각 군은 그간 대대적으로 추진했던 병영문화 개선 정책이 단순히 구호에 그치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전반적으로 정책을 재검토해 군 병영문화를 진정으로 혁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