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륜계 역대급 빅매치로 꼽히는 임채빈(30세 25기 수성)과 정종진(34세 20기 김포)의 두 번째 맞대결에서 임채빈이 또 한 번 활짝 웃었다.
임채빈은 지난 17일 올 시즌 두 번째 대상경륜으로(경륜개장 27주년 기념) 열린 광명 특선 결승(6경주)에서 전매특허인 한 바퀴 선행승부로 버티기에 성공, 뒤따르던 라이벌 정종진의 반격을 완벽히 봉쇄했다. 그랑프리 4연패를 비롯, 50연승 등 경륜계 살아있는 레전드로 통하는 정종진의 한방을 기대했던 팬들의 바램도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당일 인기는(배당) 오히려 정종진이 임채빈 보다 앞섰다.
재미있는 점은 임채빈이 데뷔 후 단 한 번도 뒤따라오는 선수에게 역전을 허용하지 않았던 대표적 자력 승부형이라면 정종진은 폭발적인 순발력과 마무리 능력을 바탕으로 그동안 단 한 번도 못 잡아낸 앞 선수, 즉 역전에 실패한 적이 없었다. 말하자면 '창과 방패'의 대결인 셈. 아쉽게도 지난 1차전에선 초반 임채빈을 따라붙던 정종진이 도전자인 신은섭에게 마크를 빼앗기면서 모두가 보고 싶던 그림이 나타나지 않았었다.
|
힘 못지않게 전술의 비중이 아무리 큰 경륜종목이라 할지라도 내용상으로 볼 때, 임채빈의 완승이란 데 이견을 제시하기가 어려운 내용이었다. 단순히 1승 2승이 문제가 아니라 그만큼 내용 자체가 파격적이며 대다수가 부인할 수 없는 말 그대로 임채빈의 '완승'인 것. 전문가들은 대부분 임채빈의 시대가 생각보다 빨리 왔다고 입을 모은다. 그리고 이에 따른 파장 역시 상당할 것이란 후문이다.
▶정공법으론 못 이긴다
현존 최고의 순발력형인 정종진이 무참하게 당했다. 이건 '힘 대 힘'으로 임채빈을 이겨낸다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물론 천하의 임채빈도 이미 2패를 기록했고 그 두 경기에선 공통점이 있다. 임채빈이 순간 스퍼트 타이밍을 놓치면서 외선 병주가 길어지는 상황. 내선의 심한 견제를 받는 경우다. 하지만 의도치 않았던 이변 상황이다. 제 아무리 다수가 협공을 시도한다 해도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기가 어려운 형태란 것이다.
▶1인 독주시대. SS반 위상 흔들
정종진이 아무리 그랑프리 4연패를 했더라도 황인혁 성낙송 정하늘 선수들의 존재감이 나름 있었다. 정종진이 힘으로 상대를 압도했다기 보다는 자신의 장점을 잘 살린 즉 경기 내용면에서의 호평도 이어졌다.
하지만 임채빈은 다르다. 그냥 '칠테면 쳐봐라'란 식이다. 직구인줄 알면서도 맞추지를 못하는 것. 임채빈의 위상은 곧 나머지 SS급 4명을 마크맨으로 전락시킬 만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는 완벽한 1인 독주 시대를 의미한다. SS급 존재의 대한 회의적인 시선도 커질 전망이다.
|
그동안 정종진의 김포팀은 옆으로 그리고 아래로 동서울 세종을 아우르며 막강체제를 형성했다. 하지만 임채빈의 등장과 함께 변방인 수성팀이 단박에 최고반열에 올라섰다. 근거리 경상권에도 그 영향이 미칠 수 있고 점점 더 북상하는 쪽으로 선회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의 위상이 전 같지 않은 것은 자명한 상황이다.
이날 임채빈의 우승을 점친 예상지 '최강경륜' 박창현 발행인은 "당장 정종진의 뾰족한 수가 단순히 마크 추입밖에 논할 수 없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임채빈의 우위를 증명한 것과 다를 바 없었다"면서 "이날 결과를 토대로 임채빈의 위치가 더욱 견고해졌고 또 냉정해 보이지만 현 멤버나 향후 2~3년 후 투입될 신인들에게 조차 대항마가 없을 것이다. 이젠 누가 최고냐를 떠나 지역 또는 연대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될지에 오히려 더 관심이 간다"고 밝혔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