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를 받는 코로나19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병원급 위주 재택치료를 의원급으로 확대하자는 전문가들의 제안이 나왔다.
산소포화도, 발열 체크만으로는 고위험군(고령자 및 기저질환자)의 증상악화를 조기에 인지하지 못해 환자 건강에 위험상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지역 의료기관을 활용한 증상 변화에 대한 연속적인 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체계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환자가 재택 상태에서 의사로부터 외래 진료와 관리를 받는 체계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코로나19 진단 후 고위험군 환자의 선제적 진료체계가 지원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단기진료센터의 환자를 케어할 수 있는 전문의료진의 인력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위원회는 아울러 "재택치료가 어려운 경우 생활치료센터에서 항체치료제 투여를 실시해야 코로나19 중환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송체계의 확대 개편도 언급됐다.
위원회는 "재택치료에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지자체 핫라인을 통해 즉각적 이송이 될 수 있도록 코로나19 이송 전담할 수 있는 안전 칸막이가 된 방역택시 등 무증상 또는 경미한 환자가 이용 가능한 이동수단이 더 많이 확보되어야 한다"면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환자의 상태별(중환자, 중등증, 회복기, 생활치료센터 조기퇴원자 등) 이송체계를 마련해 신속한 대응을 담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재택치료 중 전파·확산을 대비하기 위해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하다는 것과 모든 확진자를 재택치료 대상자로 확대하는 대응체계 전환에 있어 의료 전문가와 함께 보완해나가야 한다는 점도 권고문에 포함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