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이 전기차·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 완성차·자동차부품업체들의 미래차 전환 속도는 매우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56.3%는 아직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차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미래차 분야에 진출은 했지만 수익을 내지 못한 기업도 23.7%나 됐다. 응답 업체의 80%가량이 미래차 분야로 완전히 전환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미래차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한 애로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자금 부족'(47.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전문인력 부족'(32.1%), '원천기술 부족'(13%) 등의 답변도 나왔다.
설비투자 관련 장애요인도 '자금 부족'이 77.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각종 규제'(9.9%), '미래 불확실성'(9.2%)을 꼽는 기업들도 있었다.
미래차산업에 진입하지 못한 기업들의 진출 희망 분야는 '전기차 전용부품'(36.7%), '미래차용 공용부품'(30.2%) 순이었다. 기술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자율주행'(11.8%), '수소차 전용부품'(9.5%)을 선택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