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헬스칼럼] 영유아 고열 '돌발진', 코로나19와 다른 점은?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3-08 11:10 | 최종수정 2022-03-10 09:15


'돌발진'은 생후 6~24개월 영유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이다.

사람의 침을 통해 전파되는 6-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이 발병 원인으로 발열과 피부발진이 주요 증상이다. 고열이 3~5일 지속되다가 열이 내린 후, 몸통과 얼굴, 팔에 빨간 장밋빛의 피부 발진이 발생해 '장미진(Roseola infantum)'이라고도 불린다.

'돌발진'이 소아에게 발병하는 이유는 엄마로부터 받은 항체가 생후 6개월부터 점차 사라지기 때문이다.

주요 증상은, 38도 이상 발열이 수 일간 지속되다가 갑자기 열이 떨어지며 이후 목, 얼굴, 팔다리 발진증상이 생기게 된다. 가려움과 물집 또는 농을 형성하지는 않는다.

발진은 대개 1~3일 후 사라진다. 대부분 환자는 고열 외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드물게 경련과 콧물,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다.

고열 외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발병 초기 진단이 쉽지 않다. 진단은 발열과 발진을 동반한 질환 중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홍역 등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빨간 장밋빛 발진이 생기는 돌반진과 달리 홍역의 피부 발진은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띤다. 또한, 돌발진은 열이 떨어지고 발진이 시작되면 천천히 회복되지만 홍역은 발진 상태에서도 증상이 지속된다.

돌발진은 연령과 병력, 진찰소견을 종합해 진단하며 6-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학적 검사, 바이러스 배양, 항원검출, PCR검사 등으로 확진하게 된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하루 30만명을 넘었고 이 가운데 영유아와 아동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어서 일반 돌발진과 코로나19 감염을 혼동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돌발진과 코로나19 감염과의 차이점은, 영유아 돌발진은 초기 고열과 열이 내린 후 발진이 형성되는데 코로나19는 2~14일 잠복기 후 37.5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간혹 무증상 감염사례도 생길 수 있다.

치료는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 외 특별한 것은 없고 대부분 자연 치유된다. 그러나 열이 많이 발생하면 적절한 수분공급을 해주고 해열제를 투여, 체온을 조절해줘야 한다. 면역이 억제된 환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한다. 특히 돌발진은 전염성이 있어서 발진이 사라질 때까지 다른 아아와의 접촉을 삼가야 한다.

돌발진은 대부분 예후가 좋지만 심한 열성 경련이 지속되는 경우, 뇌 신경 손상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도움말=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양무열 과장


자료제공=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양무열 과장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