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로나 후 직원 64% "생산성 증가", 기업 41% "생산성 감소" …직장인 43% "유연근무 찾아 떠날래"

최종수정 2022-06-26 10:01

코로나19로 인한 근무방식의 변화가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원과 기업 간의 시각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Y한영이 22개 국가의 기업 임원과 직장인 등 1만7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 일자리의 현재와 미래'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직장인의 64%는 코로나19 이후 업무 생산성이 올랐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업 측 응답자의 41%는 코로나19로 직원들의 퇴사 발생, 경쟁력 저하 등으로 생산성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기업 측 응답자의 72%는 새로운 업무 방식으로 인해 조직원들의 경쟁력 저하를 우려했지만, 이에 동의하는 직장인은 56%였다.

유연 근무제로 전환하는 추세에도 기업 응답자의 22%는 '주5일 전면 사무실 출근을 시행하길 원한다'고 답했다. 직장인들의 80%는 '최소 주 2일 이상 재택근무를 하는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가 엔데믹을 맞이하고, 인플레이션과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전 세계 직장인들의 일자리 선택 기준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직장인의 43%는 '연봉 인상과 커리어 성장 가능성, 유연근무를 위해 1년 이내 현재 직장에서 퇴사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국가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의 53%는 올해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이 가장 컸다. 업종별로는 IT 종사자(60%)의 퇴사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