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최근 5년간 김장물가 상승…"올해 더 급등 우려, 대책 마련 필요"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2-09-21 09:22 | 최종수정 2022-09-21 10:13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물가 안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5년간 김장물가가 30% 이상 오른 상황에서 올해 더 급등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달곤 의원(국민의힘)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김장재료 소비자 가격은 2017년 24만원에서 지난해 32만4000원으로 35% 상승했다.

올해 김장재료 소비자 가격은 지난해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달 1~15일 배추 10㎏ 평균 도매가는 3만4644원으로, 1년 전 1만3354원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다른 김장 재료인 무(20㎏)와 양파(15㎏)의 도매가도 각각 192.8%, 60.3% 올랐다. 건고추(30㎏)와 깐마늘(20㎏)의 도매가는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9.5%, 6.2% 증가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생산량 감소를 꼽았다. 최근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배추, 무 등의 작황이 부진한 것을 꼽고 있다. 농약, 비료, 유류비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고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도 받았다.

이 의원은 "작황부진과 물가상승에 대비해 김장 채소 수급 안정대책이 필요하다"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김장 채소에 대한 수매 및 방출 확대 등 김장물가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