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인 주사피부염이 지속되면 피부암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서울보라매병원 피부과 조소연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주사피부염 관련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동일집단) 연구'에 참여한 1만1420명의 임상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주사피부염 환자에서의 피부암 발병 위험비(hazard ratios, HR)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주사피부염이 진단된 환자는 그렇지 않은 대조군보다 광선각화증 및 편평상피세포암 발병 위험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평세포암은 피부 표피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 유래된 비흑색종 피부암을 말하며, 자외선에 오랜 기간 노출되어 발생하는 광선각화증은 편평세포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피부암의 초기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사피부염이 피부암 발병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사실이 규명됐다.
또한, 연구진은 주사피부염과 광선각화증, 편평세포암 발병의 최대 위험요인인 장기간 일광 노출이 이 세 가지 질환의 연결고리로 해석할 수 있다고 논문을 통해 밝혔다.
조소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 피부질환인 주사피부염이 피부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주사피부염은 치료되지 않고 방치되면 염증에 의해 피부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번 연구로 피부암 발병과의 연관성까지 확인된 만큼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