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확장성 소세포폐암에 대해 화학요법과 면역요법을 결합한 치료를 시행했을 시 '진단 시 폐기능 상태'가 치료성적의 주요 인자임을 확인했다.
이런 가운데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호흡기폐암센터 임정욱 교수 연구팀은 백금기반 항암제와 면역항암제 조합 치료를 받은 확장성 소세포성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 항암부작용 및 예후 인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7개 병원(여의도, 서울, 의정부, 부천, 은평, 성빈센트, 인천)에 등록된 폐암환자 데이터에서 연구에 적합한 총 41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임정욱 교수(제1저자)는 "소세포폐암은 비소세포폐암에 비해 대중적 관심이 적고 확장기 환자 치료가 어렵지만, 좋은 치료효과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향후 환자의 폐 기능이 좋아질 때 치료 성적이 동조화되는지 여부, 동반된 폐질환과 소세포성 폐암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 등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폐암 흉부 암종 전문 국제 학술지(THORACIC CANCER)에 최근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