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한잔 두잔에 지방간·간경변증 가능성 '쑥'…정기적 검사 필수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3-06-13 10:11 | 최종수정 2023-06-13 10:11


한잔 두잔에 지방간·간경변증 가능성 '쑥'…정기적 검사 필수
사진제공=다사랑중앙병원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술자리가 늘어나는 추세다.

계속되는 술자리는 결국 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특히 평소 음주가 잦은 사람, 알코올성 지방간, 간염으로 진단받았거나 치료 중인 사람이라면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다사랑중앙병원 내과 전용준 원장은 "간 질환 환자라면 안전한 음주 범위가 없으므로 금주가 꼭 필요하다"며 "침묵의 장기라 불리는 '간'에서 발생하는 질환은 보통 전조 증상이 없어, 장기간 음주 후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질병이 많이 진행된 상태일 때가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실제 다사랑중앙병원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10~12월에 입원한 환자 726명의 주요 신체질환을 조사한 결과, 간이 딱딱하게 굳고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된 간경변증 환자가 131명에 달했다.

아울러 고혈압(271명), 당뇨(211명) 등 각종 성인병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도한 음주는 필연적으로 지방간을 초래한다. 지방간은 술을 끊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을 취하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음주를 계속하면 약 20~30%에서는 알코올성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10% 정도에서 간경변증으로 악화된다.

간경변은 장기간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으로 간이 점차 굳어져 간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이 간경변증이 심해지다 보면, 간 기능 저하로 황달, 위장관 출혈, 복막염, 간성혼수 등이 일어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지속된 음주는 식도정맥류가 유발돼 점점 커지다가 결국 파열, 심한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전용준 원장은 "간경변증은 자칫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최우선이다"며 "간경변으로 굳어진 간을 다시 건강한 간으로 회복하기는 어렵지만 서둘러 치료를 시작하면 간 섬유화의 부분적 호전과 더불어 진행도 막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양 부족 상태에서는 술로 인한 간 손상이 더 심해지므로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라며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병원을 방문해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한잔 두잔에 지방간·간경변증 가능성 '쑥'…정기적 검사 필수
전용준 원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