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총수 있는 대기업 내부지분율 '61.2%'

강우진 기자

기사입력 2023-10-04 10:09 | 최종수정 2023-10-09 09:20


총수 있는 대기업 내부지분율 '61.2%'
◇총수 있는 집단 내부지분율 변화. 자료제공=공정위

총수(동일인)가 있는 국내 대기업의 내부지분율이 6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지분율이란 계열회사의 총 발행주식 가운데 동일인과 친족, 계열회사, 비영리법인, 임원 등이 보유한 주식 비율(자사주 포함)을 뜻한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주식 소유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1일 기준 전체 공시대상기업집단(82개)의 내부지분율은 61.7%로, 지난해(76개 집단)보다 1.3%포인트(p) 증가했다. 총수가 있는 72개 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은 61.2%로 1.3%p 올랐다.

다만 총수 있는 집단에서 총수 일가(총수 및 친족) 지분율은 3.6%로 전년(3.7%)보다 0.1%p 감소하고, 계열사 지분율은 54.7%로 1.4%p 늘었다.

이는 총수일가가 적은 지분을 가지고도 계열사 출자 등을 활용해 기업집단에 대한 지배 구조를 강화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두나무(0.21%), HD현대(0.47%), 카카오(0.51%), SK(0.51%), 장금상선(0.63%) 등 순이었다.

일부 기업집단의 총수 일가는 국외 계열사를 통해 기업집단 최상단 회사 등 국내 핵심 계열사를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수일가가 20% 이상 지분을 보유한 5개 집단 소속 9개 국외계열사는 국내계열사에 직접 출자하고 있었다. 이 중 국내계열사에 50%를 초과해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도 7건이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