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병원 심혈관계융합연구센터(센터장 정명호 전남대병원 교수)와 전남대학교 한국심혈관스텐트 연구소(소장 홍영준 전남대병원 교수)가 함께 연구한 '생분해성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국내 특허 등록됐다.
이에 따라 이번 특허는 인체에 무해한 요오드 성분을 함유한 조영제를 코팅해 방사선 불투과성을 향상시켰고, 방사선 촬영 시 대조도가 높아 시술시간을 단축 시켜 환자와 시술자에게 방사선 피폭선량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명호 센터장은 "금속계 약물 용출 스텐트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생분해성 스텐트의 개발도 꼭 필요하다. 금속계 약물 용출 스텐트는 평생을 이식한 채 살아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라며 "일정기간 동안 혈관을 지지 후 혈류를 정상적으로 복원 및 재개통 시킨 후 몸에서 녹아 분해되어 사라지면 비교적 젊은 환자와 이중항혈소판제 복용 시 출혈 위험이 증가되는 환자, 수술을 받아야 하는 환자, 항혈소판제 알레르기 환자에게는 유용하게 적용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명호 센터장은 현재까지 1939편의 국내 최다 논문을 발표하고 있으며, 80건의 스텐트 국내·외 특허와 3692례의 전임상 돼지 동물실험을 통해 스텐트 개발에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정 센터장은 16년간에 걸친 국립심뇌혈관연구소센터 유치·설립의 중추적인 역할을 진행해 총 사업비 1001억원의 예산을 확보했고, 국내 심장병 환자 치료에 맞는 가이드라인 개발과 스텐트를 연구 개발해 심장병 환자들에게 국내 실정에 맞는 치료법과 스텐트 국산화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여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