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란 혈압상승, 고혈당, 혈중지질이상, 비만(특히 복부비만) 등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는 위험인자가 3개 이상 해당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특히 내장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장비만을 예방하려면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해야 한다. 저열량 식사는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고 체내 지방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도움이 된다.
성별과 체중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체중 감량과 내장지방 감소를 목적으로 할 때 하루 필요 칼로리는 대략 남성 1500kcal, 여성 1200kcal 정도다.
시중에 파는 음료수와 간식에는 설탕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간식 섭취만 줄여도 큰 도움이 된다. 밀가루, 흰쌀밥보다 통밀, 잡곡밥 등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려면 포화지방산 섭취를 총열량의 7% 이내로 줄이고, 오메가3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으로 섭취해야 한다. 또 빵이나 과자, 육류 가공식품에 함유된 트랜스지방 섭취도 줄여야 한다
대사증후군을 예방, 치료하려면 규칙적으로 운동해야 한다. 운동은 체중과 복부비만을 줄이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며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사증후군 치료를 위해서는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주당 2.5~5시간, 또는 고강도 운동을 1~1.5시간 할 것을 권고한다. 중등도 운동은 빨리 걷기, 자전거 타기, 배드민턴 연습, 수영 등이다. 고강도 운동에는 등산, 배드민턴 시합, 조깅, 줄넘기 등이 해당된다.
대사증후군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는 증상이 없고 여러 요소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생활습관 평가와 검사를 진행해 동반 위험요인을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말=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경혜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