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에게 척추 건강은 삶의 질과 건강한 노년을 위해 중요하다.
전북 순창군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과 성별-연령이 매칭된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상태 및 운동참여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척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요추 신전근을 3차원 분석하고, 척추 및 신체 운동 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의 노인들이 도시의 노인들에 비해 단순 노동 및 농어업에 더 높은 비율로 종사하고 있었다. 반면 운동 참여율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유형에 관계없는 운동 참여율은 농촌 여성(60%)이 도시 여성(9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도시 지역이 여가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좋기 때문에 노년층의 관심도가 높은 반면, 농촌 지역의 경우 농업, 임업, 어업, 단순 노동 분야의 취업률이 높아 근골격계 질환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상윤 교수는 "농촌지역의 노인은 도시지역의 노인에 비해 병원 이용률과 물리치료 처방률도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처럼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에게 의료복지 인프라의 차이가 만성질환과 퇴행성 척추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며 "노년층의 척추 건강와 운동습관 지원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E급 국제 학술지인 'Rural and Remote Health'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