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값이 지난해에 이어 조정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인기단지의 아파트값이 전고점 대비 80∼90%대까지 오르는 등 고점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정부가 9월 말 6억∼9억원 이하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을 중단하면서 10월부터 수요가 줄고 있다.
권역별로는 강남3구가 있는 동남권이 0.65% 떨어지면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보였다. 전고점 임박 단지가 많은 강남권에서 실거래가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와 인천의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각각 0.35%, 0.29% 하락하며 서울보다 낙폭이 컸다. 11월에는 10월보다 하락폭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11월 실거래지수 잠정치를 보면 전국은 -0.64%, 서울은 -1.51%, 지방은 -0.15%, 수도권은 -1.08% 등이다. 집값 상승 시기에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서울 등 수도권의 낙폭이 더 클 것이란 예상이다.
이는 거래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를 보면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 기준)은 2313건으로 올해 1월(1412건) 이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에는 호가 대비 5000만∼2억원 이상 가격을 내린 매물이 올라오고 있지만, 대부분이 팔리지 않고 있다. 서울지역 일부 아파트들은 직전가 대비 1억여원이 하락한 가격에 팔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택시장 거래 침체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른 집값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현재 대출금리가 5%대까지 높아진 상황이라 금리 인하 전까지는 주택을 매수하는 수요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대다수다.
현재 건설업계의 상황이 좋지 않다는 점도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과 금융시장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폭탄이 대표적이다. 최근 금융시장에는 특정 1군 건설사의 부도 임박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내년 총선을 전후해 정부가 부실 PF 정리를 추진할 경우 주택시장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시장은 침체하고 있지만 분양 가격이 계속 오르고 매물의 호가도 유지되면서 수요는 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집값이 조정기를 거치더라도 지난해만큼의 급락은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2년간 주택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고, 내년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1만가구 이하로 급감하는 등 공급이 줄어들면서 일정 수준 가격을 유지해 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공사비와 분양가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특례보금자리론이 내년 1월 우대형까지 전면 중단되지만, 내년 1월부터 신생아 출산가구 대출 등 다른 정책 대출이 공급되면서 급락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