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극지연구소는 차세대 이차전지로 꼽히는 리튬-황 전지 개발의 핵심 소재 후보 물질을 남극에서 찾았다고 13일 밝혔다.
하지만 배터리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황의 성질이 변하거나 바인더가 팽창하면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 때문에 기술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극지연구소 윤의중 박사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이정태 교수 공동연구팀은 세종기지 인근 바다에서 채집한 남극의 홍조류 커디에아 라코빗자에(Curdiea racovitzae)로부터 상용 바인더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물질을 찾았다.
홍조류에서 분리한 복합 다당체 CRP(커디에아 라코빗자에 폴리머)를 바인더로 활용하면 개미굴과 같은 복잡한 3차원 구조를 유도하는데, 이 구조가 리튬-황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와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Materials Today)에 게재됐으며 국제 특허도 진행 중이다.
yki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