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2023년 72세 건강노화지수. 2011년 65세와 비슷…고령자 건강수명·신체기능 상태 향상"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25-03-18 16:42


최근 왕성한 활동력을 보이는 '액티브 시니어'가 늘고 있는 가운데, 실제 고령자의 건강수명이 연장되고 신체기능이 향상되면서 '건강노화' 연령이 높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8일 보건복지부가 보건의학적 관점과 노동시장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한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윤환 아주대의료원 노인보건연구센터 교수는 건강과 기능 상태 등을 고려할 때, 현재 70세는 과거의 65세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교수는 '건강노화'(Healthy Aging) 개념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설명했는데, 건강노화는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보내는 기간을 가리키는 '건강수명'(Healthy Life Expectancy)과 유사한 개념으로, 신체 기능상태를 더 반영한 것이다.

2011년과 2023년의 신체기능 장애율 분석 결과, 고령자의 중증 장애비율은 65∼69세의 경우 4.2%에서 2.4%로, 70∼74세는 4.9%에서 4.4%로 줄었다. 2023년 70세의 기능상태가 2011년 65세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강노화지수는 12년 사이 평균 1점 증가했는데, 2011년 당시 65세의 건강노화지수(10.88)와 유사한 연령대는 2023년엔 72세(10.81)였다.

노년기에 진입 중인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가 이전 산업화 세대(1945∼1954년생)에 비해 만성질환 유병률이 줄고 의료비 지출도 감소하고 있다는 통계를 통해 건강노화 연령의 상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아울러 건강수명이 평균 72.5세(2020년)로 나타나고,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연령 기준이 71.6세(2023년도 노인실태조사)로 조사된 점도 언급됐다.

한편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건강 개선과 근로기간 연장을 위한 정책대응방향' 발표에서 다양한 지표들을 볼 때 고령층의 전반적인 건강 개선이 이뤄졌다면서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 수준에 뚜렷한 격차가 존재하는 만큼 노인연령 조정에 있어 고령 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