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임신성 당뇨보다 비만이 더 위험…응급 제왕절개율·출생아 중환자실 입원율 등 더 높아"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25-05-07 11:36


"임신성 당뇨보다 비만이 더 위험…응급 제왕절개율·출생아 중환자실 입원율…
이미지=픽사베이

임신 중 비만이 임신성 당뇨보다 임산부와 출생아 건강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교수팀이 수행한 '국내 고위험 산모의 임상적 특성 및 주산기 예후 분석을 통한 고위험 산모 관리모델 개발' 연구를 바탕으로 소개한 결과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6∼2020년 국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단태아를 출산한 초임 임산부 3078명을 분석했더니, 비만 임산부의 응급 제왕절개율이 29.6%에 달해 임신성 당뇨 산모(18.7%)보다 높았다. 또한 출생아의 저혈당증 비율(6.0%)이나 중환자실 입원율(14.6%)도 비만 임산부일 때 더 높았다. 임신성 당뇨 임산부의 경우 이 비율은 각각 1.6%, 12.6%였다.

전문가들은 비만으로 인한 임신 중 위험을 낮추기 위해 임신 전부터 체질량지수(BMI)를 18.5∼22.9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임신 중 과도한 체중 증가 및 지나친 다이어트 모두 권장되지 않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중증가 목표치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임신 중 거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오해와는 달리, 저체중, 다태임신 등 조산의 고위험군, 심장 또는 폐질환 등 내과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 등을 제외한 보통의 임산부는 임신 중 하루에 적어도 30분 정도, 중강도의 신체활동할 것을 권장했다.

한편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05∼2019년 초임 임산부 368만여 명을 분석한 결과, 25∼39세 산모보다 40세 이상 산모의 조산율이 1.6배 높았다. 출생아의 중환자실 입원율도 40세 이상 산모가 25∼29세 대비 1.5배였다. 44세 이상이면 조산율은 1.9배, 출생아 중환자실 입원율은 1.7배로 더 높아졌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