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청년기 체중 증가 주의해야…17~29세에 비만 되면 조기 사망 위험 급증"

김소형 기자

translation

기사입력 2025-05-13 11:27


"청년기 체중 증가 주의해야…17~29세에 비만 되면 조기 사망 위험 급…
이미지=픽사베이

17~29세에 비만이 되면 조기 사망 위험이 급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더타임스 등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유럽비만학회 총회에서 17~60세 스웨덴인 성인 62만여명(남성 25만8269명과 여성 36만1784명)의 체중 변화를 추적하고 사망률을 분석한 스웨덴 룬드 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연구 기간 사망자는 남성 8만6673명, 여성 2만9076명으로, 남성과 여성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3년, 12년이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1년에 약 1파운드씩 체중이 증가했다.

비만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조기 사망 위험을 높였지만, 청년기에 체중이 늘면 중년기에 느는 경우보다 사망률이 훨씬 더 높았다. 나이가 들면서 위험 증가폭은 줄어들었다. 특히 '핵심적 생애 단계'인 17세~29세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초기에 체중이 1파운드(0.4536㎏) 증가하면 조기 사망 위험이 남성의 경우 24%, 여성의 경우 22% 증가했다. 또한 만 30세가 되기 전에 비만이 됐던 남성과 여성은 연구 기간 동안 사망할 확률이 젊을 때 건강 체중을 유지했던 이들보다 각각 79%, 84% 높았다. 30세에서 45세 사이에 비만이 되면 위험이 52% 증가했고, 45세에서 60세 사이에 비만이 되면 전체 위험이 약 25% 증가했다.

사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심장 질환, 제2형 당뇨병, 간암, 신장암, 자궁암이 비만과 가장 강력한 연관성이 있는 질환으로 드러났다.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의 경우, 체중 증가는 삶의 어느 단계에서 체중이 증가했는지에 관계없이 암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비만으로 분류된 25~34세의 비율은 1993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초기 성인기, 특히 20대 초반에 사람들이 집을 떠나면서 종종 정크 푸드와 인스턴트 식품에 더 의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면서, 패스트푸드 및 초가공 식품 등이 이 시기 비만에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