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13일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후보자가 어떻게 소명하는지 들어보고 도무지 납득되지 않는다면 심각하게 고려할 바가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KBS 1TV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야당의 임명철회 주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오는 21일부터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추가 발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경제 상황에 달려있다"며 "경제 상황이 너무 심각하면 설령 빚을 내는 한이 있더라도 제3의 추경, 제3의 소비쿠폰 사업, 또 다른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소비쿠폰 같은 사업을 또 펼치기엔 재정 여력이 없다. 하지만 경제 상황이 너무 좋지 않은데 언제까지나 '빚을 내서 추경할 수 없으니 (사업을) 할 수 없다'고는 할 수 없다"고 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정부 정책에 대해선 "효과를 봤다고 보고 있다"며 "후속 대책은 정부·여당이 미리 준비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후속 대책이 '공급대책'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도시 같은 공급대책은 실현될 때까지 10년 이상 걸리기에 기존에 수립·발표됐던 계획 추진 상황을 점검해 신속하게 추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게 중요하다"며 문재인 정부 말기에 발표됐던 3기 신도시 건설계획, 노후 신도시 재정비 계획, 서울 지역 중심 공공재개발 계획 등을 언급했다.
당 대표 후보인 박찬대 의원이 대표발의한 '내란특별법'을 두고 국민의힘 측이 반발하는 데 대해선 12·3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 90여명이 계엄해제 표결에 불참한 경위를 밝혀야 한다고 반박했다.
내란특별법은 내란죄로 형이 확정된 자가 속했던 정당의 국고보조금 지급을 막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진 정책위의장은 "경위가 밝혀지면 경우에 따라서는 국민의힘이 그야말로 내란에 동조한 정당으로 규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점에 대해서는 정치적으로든 법적으로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stop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