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기정 시장 "광산구 책임"·광산구 "음용수 이상 없어"
15일 광주 광산구 등에 따르면 구는 2020년 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하남산단 지하수토양오염을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조사했다.
광주시가 2019년 지하수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오염 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확인되자 사업비 10억원을 광산구에 지급해 실태와 대책을 세우도록 하면서 실시된 조사다.
조사 결과 171개 지점에서 심도별로 확보한 지하수 시료 657개 중 184개 시료에서 발암물질인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와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가 높은 지역을 5곳(Zone 1~5)으로 구분해 정밀 조사했는데 1~3구역에서 기준치의 466배가 넘는 TCE와 284배 넘는 PCE가 각각 검출됐다.
TCE는 금속공업 부품 세정제, 접착제 첨가제, 페인트 제거제, 세정 용제, 농약 등에 사용되며 PCE는 드라이클리닝이나 금속부품 세정제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흡착이 적고 불연성 무색액체의 특성을 가진 유독성 발암물질로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염이 확인된 5개 구역은 금속가공, 전자부품 제조, 도금 등 업체가 오래전부터 입주해 있어 많은 폐기물과 오염물을 누출시켰을 개연성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일부 업체는 조사일 현재까지 TCE, PCE를 세정용 유기용제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염된 일부 지하수는 주거지역을 거쳐 풍영정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오면서 "오염물질이 주거 지역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주거 지역에서 사용 중인 지하수 시설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대신 용수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거나 오염된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해 추가 오염을 방지하고 오염 정화대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제안도 보고서에 담겼다.
그러나 광산구는 2023년 7월 이러한 결과 보고서를 받고서도 현재까지 2년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오염 지하수 정화 업무처리 지침에 따르면 오염 확산 방지대책은 지하수 오염이 확인된 즉시 조치해야 하고 정화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도록 조치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은 셈이다.
오염 확산 방지대책으로 제시된 양수 처리나 투수성 반응 벽체, 그라우팅공법 등의 조치도 검토되지 않았고, 정화 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나 연구 등도 전무했다.
당장 책임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진보당 광주시당 김선미 환경위원장은 "심각한 오염 사실이 밝혀졌는데도 광주시와 광산구가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며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시와 광산구는 즉각적으로 후속 조치를 시행하고 공개 사과와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같은 당 김주업 위원장은 "주민들의 생명을 위협한 범죄 행위와 다름없다"며 강기정 광주시장과 박병규 광산구청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수기 광주시의원도 이날 시정질의를 통해 "광주시에 권한과 책임이 있는 것 아니냐"며 "당장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강 시장은 "시가 소극적이었던 점은 인정하지만, 지하수에 대한 관리 권한과 책임은 광산구에 있다"며 "비용이 많이 들고 오래된 문제라 적극적 대응이 미진했을 수 있다. 늦었지만 구청과 함께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광산구 관계자도 "이 조사는 지하 30m 안팎에서 이뤄진 것인데 보통 지하수는 100m 정도 굴착해 사용하고 있다"며 "주변에 이용하고 있는 지하수 중 하남산단 음용수는 없고, 수완지구에 있는 지하수 3곳은 수질 검사 결과 오염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in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