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광주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시의 고질적 현안인 도시철도 2호선 추진 상황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이어 "광주시는 민원 해결을 위해 TF도 형식적 수준에 그칠 우려가 있다"며 "또 총사업비가 당초 계획 대비 80% 이상 증가해 지방비와 지방채가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2단계 공사 구간에 대해서는 7공구, 10공구 구간이 무려 5차례에 걸쳐 시공사 선정이 유찰되고 있다고 지적했고, 개통 일정 재점검과 공정 관리 계획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임 의원은 "2호선 개통이 지연되면 대중교통·자전거·보행 등 이와 연계된 광주시 '대자보' 교통정책의 혼선도 예상된다"며 "장기 표류하는 3단계 노선 추진 로드맵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특히 3단계 사업 추진과 관련해 "대통령 공약 대응에 대한 광주시의 안일하고 무책임한 행정은 공공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해 '책임 회피의 전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공사 지연은 공정의 차질이라기보다 복합적 문제가 누적된 것"이라며 "암반과 설계도면과 다른 매설물이 다수 발견돼 공정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주민 민원 해결을 위해 TF 구성을 강조한 강 시장은 "송구하다"고 사과하고 "가장 큰 불편 사항인 도로 단차는 다음 주 월요일부터 도로 미개통 구간 포장 작업을 실시해 일주일 안에 마무리하고, 올해 말에는 전체 구간 도로 개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2단계 구간 유찰에 대해서는 "보완 설계를 통해 총사업비 협의를 정부와 하고 있다"며 "300억~500억원 사업비 증액이 협의되면 연내에 다시 발주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3단계 노선 추진에 대해서는 "효천선 비용 대비 편익(B/C) 지수가 0.51로 분석돼 사업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국정과제로 반영하는 노력을 이어가는 등 정부에 적극적으로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추진으로 인한 재정 문제에 대해 그는 "시비 부담액은 현재 1조2천500억원이며, 3천145억원 규모의 관련 지방채를 연도별로 상환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채 증액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위한 전략적 투자와 필수 현안사업은 중단 없이 지속 추진해야 할 과제인 만큼, 재정 건전화를 위해 노력하고 최대한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자보' 정책 등 교통 정책과 관련해서는 "TF 점검을 진행해 지하철 개통 전에 버스 등을 조정하고, 지하철 개통 후 다시 조정하겠다"고 답변했다.
pch80@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