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이 '2025년 제10회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박희정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 익숙한 2035세대를 중심으로 정신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트렌드와 신소재에 대한 수용성이 높다"라며 "해외에서 널리 유통되는 기능성 원료가 국내에서 일반식품 형태로 소비되는 상황에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규제 중심 접근보다 해외 기능성 원료의 과학적 근거 확보 및 제도적 정비로 기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전북대병원 정세영 석좌교수는 '건강기능식품 기능 확장의 현황과 미래'라는 주제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영역 확대 및 세분화를 제안했다.
동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의학계 관점에서의 기능성 표시 확대 적용 제언'이라는 주제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 확대를 위한 제언을 의학계 관점에서 풀어 발제했다. 오 교수는 "현 제도 하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만 기능성 표시가 허용되며, 일반식품이나 개인 맞춤형 영양제품에 대한 기능성 표시는 제한되었다"라며 "기능성 표시제도는 단순히 제품 특성의 홍보를 넘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의 일환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의학계와 규제당국, 산업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종합토론에서는 미래포럼 회장 강일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식품의약품안전처, 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강대진 교수, 한국인삼공사 주계종 실장, 종근당건강 장은영 이사, 상명대 식품영양학과 박희정 교수, 동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 전북대병원 정세영 교수가 함께 모여 산학연관의 입장을 듣고 실질적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 회장은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관련 제도가 글로벌 규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유연함이 필요한 때"라며, "이번 정책세미나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이 해외로 진출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제안하고 개선해 나가면서 우리 산업이 한 걸음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