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극심한 통증에 소변 자주 마려워, 단순 방광염인 줄 알았는데…

기사입력 2025-07-31 12:22


극심한 통증에 소변 자주 마려워, 단순 방광염인 줄 알았는데…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 40대 여성 A씨는 몇 차례 방광염 진단을 받고 항생제를 복용했지만, 증상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며 몇 달째 개선되지 않았다. 평소 방광염을 자주 겪어온 터라, '방광이 예민한 체질'로 여기고,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병원을 찾지 않거나 이전에 처방받은 약을 임의로 복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방광에 소변이 조금만 차도 극심한 통증이 동반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으면서 결국 비뇨의학과에 내원했고, 정밀검사 끝에 기존의 급성 세균성 방광염이 아닌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IC)'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방광염'이라고 하면 대장균 등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세균성 방광염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이는 요도를 통해 침입한 세균이 방광에 염증을 일으켜 배뇨 시 통증, 빈뇨, 하복부 불편감, 혈뇨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소변검사, 소변배양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대부분 항생제 치료로 호전된다.

반면, 간질성 방광염은 세균 감염이 아닌 방광 점막의 기능 이상, 신경과민,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만성적인 통증과 배뇨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방광 표면은 소변 내 미생물이나 자극물질이 방광 벽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GAG층(글리코사미노글리칸층)으로 보호받고 있는데 간질성 방광염 환자는 이 보호막이 약화되거나 손상되어 자극물질이 방광 조직에 침투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간질성 방광염의 대표적인 특징은 방광이 차오를수록 통증이 심해지고, 배뇨 후에는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된다는 점이다. 통증은 치골 상부, 하복부, 회음부, 질 등에서 느껴질 수 있으며, 주간 및 야간의 잦은 배뇨, 절박뇨, 성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간질성 방광염의 진단은 단순한 증상 관찰만으로는 어렵다. 세균성 방광염, 요로결석, 과민성 방광 등 다른 질환을 배제하는 진단 과정이 필요하며 소변검사, 소변 배양, 혈액검사, 골반 CT, 방광 초음파, 남성의 경우 전립선 검사 등이 포함된다.


방광 내시경 검사를 통해 방광 점막에서 궤양 형태의 휴너 궤양(Hunner's ulcer)이나 방광 내 점상 출혈이 그물 모양으로 나타나는 구상화 병변(Glomerulation) 등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견들은 간질성 방광염 진단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간질성 방광염의 치료는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둔다. 방광 훈련을 통해 방광 용적을 늘려 배뇨 간격을 늘리고 카페인, 알코올, 초콜릿 등 방광을 자극할 수 있는 음식은 피하며 환자 상태에 따라 방광 점막 보호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골반저 근육 강화 운동(케겔 운동), 가벼운 요가 및 스트레칭은 방광 기능 개선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며, 달리기처럼 골반에 충격을 주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동병원 비뇨의학과 서영은 과장(비뇨의학과 전문의)은 "배뇨장애는 단순한 불편감으로 보이지만, 이는 체내 이상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며 "특히 간질성 방광염과 같은 만성질환은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고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가 진단이나 약물의 임의 복용보다는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 계획 수립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초기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경우 증상 악화를 막고 일상생활 기능을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자주 소변이 마려운 경우 ▲소변을 참기 어려운 경우 ▲야간 소변으로 수면에 방해를 받는 경우 ▲혈뇨 ▲하복부 통증 ▲배뇨통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로 배뇨장애가 나타난다면 반드시 비뇨의학과에 내원해 진단을 받도록 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극심한 통증에 소변 자주 마려워, 단순 방광염인 줄 알았는데…
서영은 과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