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천우신조일까. 활로를 찾던 삼성에 부흥의 기회가 왔다. 최근 글로벌 빅테크와 대규모 투자 협력에 잇달아 합의하는 성과를 올린 것이다. 이번 협력 계약은 여러 우연이 겹친 행운이라 부를 만큼 이상적이다. 우선 상대가 세계 첨단산업 질서를 넘어 인류 지적 혁명을 주도하는 테슬라, 애플이라는 점이다. 해당 분야가 앞으로 우리의 '쌀'이 될 인공지능(AI) 시스템 반도체 칩과 첨단 이미지 센서 칩이란 건 더 고무적이다. 게다가 시스템 반도체는 삼성 철수설까지 나올 만큼 고전해온 분야다. 흔들리던 이재용 회장의 '시스템반도체 2030' 선언이 실현을 위한 본궤도에 일단 오른 셈이다. 시스템반도체 2030은 2030년까지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에 133조 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 1위에 오른다는 목표다.
삼성이 이처럼 재도약 발판을 마련한 데에는 여러 외형적 이유가 있으나 근본적 배경은 세계 질서의 급격한 변화로 볼 수 있다. 중국의 급부상과 이를 견제하려는 미국의 행동 계획 속에서 세계 질서는 외교안보를 넘어 경제산업 측면에서도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첨단기술=군사력'이란 등식을 잘 아는 미국은 AI 반도체처럼 최첨단 산업에 활용되는 기술·부품의 중국 수출을 봉쇄하고 나섰다. 자국과 동맹국의 기업들이 중국에 관련 기술과 부품을 공급할 경우 제재를 불사한다. 대한민국 제조업의 최대 숙적인 중국이 큰 걸림돌을 만났다.
뒤처진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추격의 전기를 맞았지만, 삼성이 해결해야 할 난제도 많다. 우선 매우 엄격하고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진 빅테크 협력사들의 요구 조건과 기대치를 고도의 기술력과 생산력으로 충족해야 한다. 그러려면 충분한 보상을 통한 관련 인력 확보 및 양성, 생산·연구·개발 시설의 차질 없는 확보, 공정한 성과 위주의 조직 운영, 내외부 정치 리스크 차단 등이 필요하다. 정부와 국회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글로벌 거대 기술사들과 경쟁 중인 우리 선도 기업들이 이런 과제들을 잘 해결하도록 각종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불필요한 규제는 조속히 개선하고 정부 재정이 필요한 곳엔 집중적 지원이 언제든 이뤄지게 예산 배분 계획을 짜야 한다.
lesli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