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경남도는 12일 경남연구원 가야대회의실에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북극항로 개발에 맞춰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기후변화로 북극 해빙(海氷) 면적이 축소되면서 새롭게 열리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현재 수에즈운하를 이용하는 유럽∼아시아 간 운송 거리·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 발표에 나선 김기태 영산대학교 북극물류연구소 교수는 북극해 연안 53%가 러시아에 속한 점을 거론하며 북극항로 개척 과제, 경남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러시아의 북극 자원개발 진척 상황, 항만·터미널 등 러시아 정부의 북극 수송인프라 개발 상황, 쇄빙 비용·운항 가능 기간에 따른 경제성 문제, 그 외 우크라이나 전쟁 후 유럽연합의 러시아 제재 등 법적인 문제가 북극항로 개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했다.
김 교수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이후를 대비해 한·러 협력관계를 복원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빙선박 건조 지원, 거점항만 육성 등 우리나라 정부가 북극항로 개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정부가 2040년까지 순차적으로 건설하는 21선석 규모 진해신항을 포함한 부산항 신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또 경남도가 북극항로 진출 거점이 되려면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경남 조선업체가 극지 특화 선박 건조 역량을 갖추면서 북극항로에 특화한 선박기자재 공급, 수리조선이 가능한 조선·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seam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