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미국이 주요국과의 관세 협상 이후 통화 절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한국 수출에 미칠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새 이사로 지명한 스티븐 미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은 '마러라고 합의' 구상에서 달러 약세를 유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 구상이 아니더라도 각국이 대미 관세 영향 최소화 차원에서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릴 것에 대비해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교역 상대국에 통화 강세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원화 강세가 되면 국내 수출입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할 때 한국의 수출액은 0.25% 감소하고, 수입액은 1.3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경우 수출 기업은 수익성을 유지하고자 달러 기준으로 수출 가격을 올리는 선택을 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한 수출 물량이 감소한다면 더 손해다.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한 상황에서 수출 단가가 1.18% 오르면 수출 물량은 1.43% 감소해 최종 수출액은 0.25% 줄어들기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환율 변동성이 1%포인트 커지면 한국의 수출 물량은 1.5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환율 하락은 수입 기업에는 도움이 되는데, 환율이 10% 떨어지면 원자재 수입 단가 하락으로 전 산업의 평균 생산 비용이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석탄·석유 제품의 원가 절감률은 7.2%, 1차 금속제품은 6.0%로 상대적으로 큰 효과를 본다.
보고서는 환율 하락과 변동성 확대에 대응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양지원 무협 수석연구원은 "환율 하락에 대비해 통화스와프 확대 등 외환시장 안정 장치를 강화하고 수출기업의 환리스크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ohye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