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지난 5월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해양관광 캠페인이 연안·어촌 지역 소비를 활성화하고 방문객을 유인하는 등 정책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5월 한 달간 진행된 '바다 가는 달' 캠페인은 전국 연안·어촌지역에서 숙박·체험·입장권·관광상품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지역 특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KMI와 한국관광공사 공동 분석에 따르면 캠페인이 시행된 올해 5월 전국 연안·어촌지역을 방문한 내국인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3% 증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과 동해권 연안에서는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해 캠페인이 단순한 계절적 요인을 넘어 실질적인 방문 유인 효과를 창출했음을 보여준다.
캠페인 기간 연안·어촌지역 소비 증가율은 2.3%로, 같은 기간 전체 관광시장 소비 증가율 0.3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같은 달 외국인의 연안·어촌지역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17.5% 증가했고, 방문자 수도 962만명으로 18.0% 늘었다.
이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광 수요에 간접적인 파급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별로는 전북(+10.8%), 강원(+10.7%), 충남(+8.1%) 연안의 소비 증가율이 두드러졌던 반면, 제주(-8.7%)와 울산(-2.0%) 연안은 감소세를 보였다.
소비 업종을 살펴보면 식음료와 쇼핑 비중이 높았고, 숙박과 여가 서비스 소비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지역별 소비에서 부산은 쇼핑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충남과 전북은 여가 서비스 비중이 두드러졌다.
숙박 비중은 제주와 강원에서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지역별 소비 유형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었다.
캠페인 만족도 조사에서는 참여자 90.3%가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지역 특화상품 참여자 만족도(5점 만점 중 4.67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KMI 해양관광·문화연구실 최일선 박사는 "'바다 가는 달'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기획·운영한 전국 단위 해양관광 캠페인으로, 정책 부처 간 협업 성공 사례"라며 "향후 캠페인을 정례화, 제도화해 지속 가능한 연안·해양관광 활성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josep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