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5대 은행의 직원 생산성이 1년 새 27%나 뛰며 1인당 평균 2억원을 넘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3억4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5대 은행의 1.7배에 달했다.
1년 전 1억5천900만원에서 26.8%나 불어났다.
5대 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의 직원 1인당 이익이 2억3천9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1년 전(1억8천800만원)보다 27.1%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은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국민은행의 직원 1인당 이익은 2억2천800만원으로, 작년 상반기(1억1천400만원)의 2배로 뛰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억7천700만원에서 2억3천300만원으로 31.6% 늘었고, 우리은행도 1억6천900만원에서 1억7천100만원으로 1.2% 증가했다.
NH농협은행만 1억4천800만원에서 1억3천800만원으로 6.8% 감소했다
한편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의 올해 6월 말 기준 직원 1인당 이익 평균은 3억3천700만원으로, 지난해 6월 말(3억8천100만원)보다 11.4% 줄었다.
올해 상반기 말 인터넷은행의 생산성은 5대은행의 1.7배 수준이다. 인터넷은행 생산성이 감소한 반면, 5대 은행은 늘어나면서 그 격차가 작년 상반기 2.4배에서 줄었다.
은행별로 보면 토스뱅크의 올해 6월 말 기준 직원 1인당 이익이 4억2천7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 6월 말(5억2천500만원)보다는 18.7% 감소했다.
케이뱅크도 3억4천만원에서 3억원으로 11.8% 줄었다.
카카오뱅크는 2억7천700만원에서 2억8천500만원으로 2.9% 증가했다.
┌─────────────────────────────────────┐
│ 5대 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생산성 비교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카카오·케이·토스 경영공시 │
│ ※이익은 5대 은행과 인터넷은행 평균, 인원은 5대 은행과 인터넷은행 합산 │
├─────────┬─────────────┬─────────────┤
│ │1인당 이익(단위 : 억원) │평균 국내 인원(단위 : 명) │
├─────────┼──────┬──────┼──────┬──────┤
│ │2025년 6월 │2024년 6월 │2025년 6월 │2024년 6월 │
│ │말 │말 │말 │말 │
├─────────┼──────┼──────┼──────┼──────┤
│국민 │ 2.28│ 1.14│ 15,198│ 15,943│
├─────────┼──────┼──────┼──────┼──────┤
│신한 │ 2.33│ 1.77│ 12,376│ 12,931│
├─────────┼──────┼──────┼──────┼──────┤
│하나 │ 2.39│ 1.88│ 11,645│ 11,748│
├─────────┼──────┼──────┼──────┼──────┤
│우리 │ 1.71│ 1.69│ 13,444│ 13,624│
├─────────┼──────┼──────┼──────┼──────┤
│농협 │ 1.38│ 1.48│ 13,494│ 13,311│
├─────────┼──────┼──────┼──────┼──────┤
│5대 은행 │ 2.02│ 1.59│ 66,157│ 67,557│
├─────────┼──────┼──────┼──────┼──────┤
│카카오 │ 2.85│ 2.77│ 1,676│ 1,555│
├─────────┼──────┼──────┼──────┼──────┤
│케이 │ 3.0│ 3.4│ 604│ 569│
├─────────┼──────┼──────┼──────┼──────┤
│토스 │ 4.27│ 5.25│ 716│ 545│
├─────────┼──────┼──────┼──────┼──────┤
│인터넷은행 │ 3.37│ 3.81│ 2,996│ 2,669│
└─────────┴──────┴──────┴──────┴──────┘
5대은행과 인터넷은행의 생산성 추이를 결정한 것은 직원 수였다.
5대 은행은 디지털 전환 등 흐름에 맞춰 직원 규모를 점차 줄이는 추세지만,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인터넷은행은 회사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직원 채용을 늘렸다.
다만 점포가 없고 직원 수도 절대적으로 적은 인터넷은행의 생산성이 시중은행보다는 높은 편이다.
5대 은행의 6월 말 기준 평균 국내 인원은 6만6천157명으로, 1년 전(6만7천557명)보다 1천400명 줄었다.
국민은행(1만5천943명→1만5천198명), 신한은행(1만2천931명→1만2천376명), 하나은행(1만1천748명→1만1천645명), 우리은행(1만3천624명→1만3천444명) 모두 인원수가 줄었다.
5대 은행 중 유일하게 생산성이 줄어든 농협은행만이 국내 인원이 1만3천311명에서 1만3천494명으로 늘었다.
인터넷은행 3사의 지난 6월 말 기준 평균 국내 인원은 2천996명으로 1년 전(2천669명)보다 327명 증가했다.
토스뱅크는 716명으로, 1년 전(545명)보다 171명이나 늘었다. 카카오뱅크(1천555명→1천676명)와 케이뱅크(569명→604명)도 나란히 직원 수가 증가했다.
5대 은행 생산성이 좋아진 데는 지난해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충당부채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분기 국민(8천620억원)·농협(3천416억원)·신한(2천740억원)·하나(1천799억원)등이 각각 수천억대 손실 배상 비용을 실적에 반영했다.
지난해 충당부채 규모가 컸던 국민은행의 생산성 증가 폭이 100%에 달했으며 신한(31.6%)과 하나(27.1%)은행도 많이 늘었따.
작년 1분기 ELS 충당부채 규모가 작았던 우리은행(75억원)은 생산성 증가 폭이 크지 않았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충당부채 규모가 많은 편이었는데도 올해 상반기 순이자마진 하락 등 영향으로 순이익이 줄었다.
인터넷은행은 올해에도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이익 기록을 새로 썼고, 케이뱅크도 올해 2분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ssu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