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GIST 연구팀, 암세포 정밀 공격 항암제 플랫폼 개발

기사입력 2025-09-02 09:48

[광주과기원 제공]
[광주과기원 제공]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일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의과대학(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연구진과 공동으로 기존 '항체-약물접합체(ADC)나 항체조각(scFv)의 단점을 극복한 새로운 항암 치료제 플랫폼 '알부바디(Albubody)'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체-약물 접합체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정확히 공격하는 표적치료제로 정상 세포의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지만 크기가 커 종양 내부 균일한 침투가 어렵고 치료 효과가 불안정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 크기가 작아 암 조직 내부로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항체조각(scFv)도 혈중 반감기가 약 1시간에 불과해 체내에서 빠르게 사라진다는 단점 때문에 임상 적용에 제약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항체조각의 장점(빠른 종양 침투)과 단백질 알부민의 장점(긴 체내 반감기)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항체조각 플랫폼 알부바디(Albubody)를 고안했다.

알부바디는 항체조각보다 체내 체류 시간이 200배 이상 길고, 대형 항체보다 종양 내 침투 능력이 우수해 차세대 항암제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체내 분포 실험에서는 알부바디가 기존 항체조각과 달리 종양 조직에 장기간 축적돼 효율적인 항암 효과를 보였고 정상 조직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도 확인됐다.

합성된 알부바디-약물 접합체는 유방암 세포를 이식한 생쥐 모델에서 기존 항체조각-약물 접합체보다 체내 지속성이 뛰어나고 암 조직으로 깊숙이 침투해 탁월한 항암 효능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권 교수는 "다른 표적 항원과 약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적인 항암 치료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양한 항암제와 결합해 임상에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암 치료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교수가 지도하고 권나현 박사과정생과 이재훈 박사가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컨트롤드 릴리스(Journal of Controlled Release)'에 지난달 22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betty@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