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경, 진상조사단 구성…사고 원인 규명·재발 방지 대책 마련
중부지방해양경찰청은 15일 오전 인천시 서구 인천해양경찰서 청사에서 고(故) 이재석(34) 경사의 영결식을 거행했다.
이날 영결식은 오상권 중부해경청장이 장례위원장을 맡아 중부해경청장 장(葬)으로 엄수됐으며 유가족과 동료 해양경찰관 등 1천여명이 참석해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영결식은 고인에 대한 묵념, 약력 보고, 대통령 조전 대독, 동료 고별사, 헌화 및 분향, 경례, 운구 순으로 진행됐다.
유족들은 이 경사가 고인이 된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 듯 넋을 잃고 애통함을 나타냈다.
김대윤 경장은 고별사에서 "사람들이 너를 영웅이라고 치켜세우지만, 어둠 속 바다에서 혼자 싸웠을 너의 모습이 떠올라 비통함을 감출 수 없다"며 "가족, 친구, 동료 모두를 비추는 별이 되어달라"고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유족들은 "너무 억울하게 죽었잖아. 재석아, 재석아"를 연신 외치며 목 놓아 울면서 고인에게 헌화했다.
이어 한참 동안 운구차에 실린 관을 부여잡고 "어떡하면 좋아. 죽을 아이가 아닌데 왜 여기 있느냐"며 오열했다.
영결식이 진행되는 동안 곳곳에서는 동료들이 흐느끼는 소리가 들렸다.
고인은 경장에서 경사로 1계급 특진했고 대한민국 옥조근정훈장을 추서 받았다. 이 경사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해경은 외부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진상조사단을 꾸렸으며 오는 26일까지 자료 조사와 현장 점검 등에 나서 사고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오 청장은 영결식에서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2인1조 출동 원칙을 준수하지 못한 이유와 고인과 연락이 끊긴 뒤 신속한 대응을 못 했는지, 구조 장비나 자기 장비 보호는 부족하지 않았는지 명백히 밝혀내겠다"며 "고인의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재발 방지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상조사단 조사 결과를 주기적으로 유가족 등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며 "상황 대응 수칙과 근무 체계 등 규정 강화와 파출소 인력과 장비 운용 등 구조 역량을 보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경사는 지난 11일 오전 3시 30분께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 갯벌에 고립된 중국 국적 70대 A씨를 구조하던 중 실종됐고 6시간여 만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
그는 발을 다친 A씨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물이 허리 높이까지 차오르자 부력조끼를 벗어서 건네고 함께 육지로 이동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hw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