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규제 완화, 미 은행 3천700조원 대출여력 창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주 3분기 실적 발표를 하는 J모건체이스·뱅크오브아메리카·시티그룹·골드만삭스·모건스탠리 등 월가 5개 대형 은행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이들 은행의 3분기 자문 및 주식·채권 인수 수익이 총 91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수치다. 2023년 최저치 대비 50% 개선된 수익이지만 2021년 호황기의 마지막 분기에 기록했던 역대급 실적인 134억달러에는 크게 못 미친다.
3분기 전망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이후 기대됐던 인수·합병(M&A), 레버리지 바이아웃(LBO), 기업공개(IPO) 등의 급증이 이제 실현될 것이라는 월가의 낙관론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FT는 풀이했다.
투자은행 부문은 2022년 초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이후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고,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독점 정책은 기업 M&A 시장을 위축시켰다.
은행 관계자들은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가 투자은행 부문의 호황을 가져올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무역 정책 불확실성과 정부의 대규모 예산 삭감으로 인해 올해 초에는 거래 성사율이 오히려 위축됐지만 최근 몇 달간 이러한 현상이 사라졌다고 전했다.
이들 5대 은행의 3분기 주식·채권 트레이딩 수익은 작년 동기 대비 약 8% 증가한 310억달러(약 44조2천억원)에 달하면서 견조한 성과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자산 규모 기준 미국 6대 은행(5대 투자은행과 웰스파고은행)의 3분기 순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약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폭 강화했던 은행의 자본건전성 규제가 완화되면 미국 은행들에 2조6천억달러(약 3천700조원)의 대출 여력이 창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컨설팅업체 알바레즈 & 마샬의 연구에 따르면 미 당국이 이미 상당 부분 시사한 은행 규제 완화로 인해 월가 은행들의 자본이 약 1천400억달러(약 200조원) 풀릴 것으로 추정됐다.
jungwo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