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일각서 K-배터리 반사이익 기대감도…"전반적인 산업 영향 예의주시"
중국의 수출 통제 조치는 미국을 직접 겨냥한 조치로 풀이되지만, 핵심 소재의 대(對)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 구조상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홍콩 명보는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에 맞서 다음 달 8일부터 고급 리튬 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스마트폰·노트북·전기자동차·전동공구·의료기기·재생 에너지 저장 등에 널리 사용되는 필수 전력 공급원으로 꼽힌다.
중국은 앞서 전략 광물인 희토류와 관련 기술을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하고, 양극재, 인조 흑연 음극재 관련 품목 등도 수출 통제 대상으로 명시했다.
중국의 수출 통제가 본격화하면 중국 내 생산거점을 둔 국내 기업들도 사정권에 들어갈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와 소재 기업들이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어 허가 절차 지연이나 물류 차질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또 수출 통제로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지면 중국산 광물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배터리 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납기 불안정 등을 겪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소재, 설비 등을 중국으로부터 수급하고 있어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지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배터리의 미국 수출이 제한될 경우 현지 생산 기반을 갖춘 국내 배터리 3사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올해 1∼7월 중국산 리튬 이온 배터리는 미국 수입량의 65%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완성차 업체들이 공급망 재편에 나설 경우 한국산 배터리가 대체제로 부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편 중국의 수출 통제에 따라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기계·장비 분야의 수급 차질도 우려된다.
이번에 수출 통제 대상으로 거론된 인조 다이아몬드는 첨단 반도체 칩 제조와 초강력 소재 연마·레이저용 광학기기 등에 쓰인다.
희토류 역시 첨단 반도체 장비를 만들 때 필요한 초정밀 레이저와 자석 등의 부품에 핵심적인 재료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은 반도체를 만들 때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네덜란드 ASML 등 기업의 장비에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ASML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로 당장 제품 출하가 몇주일 지연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잇따른 통제 강화가 국내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어서 우려하고 있다"며 "전반적인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writer@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