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해 지지부진한 상태인 울산 공공의료원 설립과 관련, 울산시가 "정부 정책에 맞춰 어린이 치료 특화 형태로 설립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손 시의원은 울산시가 추진하는 공공 의료기관의 형태는 무엇인지, 공공의료원 설립에 회의적인 견해를 드러낸 김두겸 울산시장의 발언 기조가 울산시의 공식 정책 방향을 반영한 것인지 등을 질의했다.
울산시는 답변서에서 "시는 2022년부터 공공병원 설립을 추진했으나 경제성 부족으로 매번 무산됐다"면서 "2023년 타당성 재조사 탈락 이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재도전하고자 사업계획 수립과 타당성 조사 용역을 착공해 올해 4월 완료했다"고 전제했다.
이어 "제21대 대통령 지역공약으로 어린이 특화 진료가 가능한 울산의료원 설립으로 사업 내용이 조정되면서 계획 변경이 필요하게 됐다"면서 "앞으로 지역 실태를 반영한 연구용역을 선행하고, 타당성 연구 조사 결과에 따라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의 울산 공약사업에 포함된 만큼 어린이 치료에 특화한 공공의료원 설립을 검토하겠지만, 먼저 연구 용역을 통해 그 타당성부터 신중하게 따져보겠다는 의미다.
다만 손 의원은 사업 추진에 의지가 없는 울산시가 '신중한 검토'를 빌미로 시간을 끄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손 의원은 "울산의료원 설립은 명확한 정부 공약이자 국정기획위원회의 공식 과제"라면서 "이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와 국비 지원 등 중앙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다는 긍정적 신호이므로, 용역 수행은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가 용역은 필연적으로 설립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밖에 없고, 이는 민선 8기 시정 안에서 추진되지 못할 가능성을 의미한다"면서 "결국 용역 수행은 당장 면피용일 뿐이고, 이 사안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또다시 뜨거운 쟁점으로 소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k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