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E 투자 활동에 있어 사회적 책무의 이행 여부를 감시하고, 주주, 임직원, 고객 및 협력사 등 여러 이해관계자에 미칠 여파를 점검해 갈등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표다.
이영성 전 한국일보 발행인 겸 대표이사가 위원장으로 선임됐고, 임서정 전 대통령비서실 일자리 수석, 윤성욱 전 국무조정실 2차장, 김성식 전 서울지법 판사 등 정부·법조·학계 등 전문가 8인이 위원회를 구성한다.
위원회는 MBK와 피투자회사의 주요 의사결정 중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사안을 심의·조언하고 ESG(환경·사회·거버넌스) 지표 설정과 연례 평가를 통해 고용 안정, 공정 거래, 환경 관리 등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사회적 문제가 생기면 독립적으로 긴급 심의를 소집할 수 있고, 대응 방향을 제시해 이사회와 경영진에 개선을 공식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위원회는 연 1회 이상 활동 내용과 ESG 성과를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이영성 위원장은 "위원회는 MBK 파트너스가 사회적 책임을 단순한 규범이 아니라 투자 전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가치로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투자활동이 사회적 가치와 조화를 이루는 방향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MBK 파트너스 관계자는 "사회적 책임 위원회 출범은 사모투자운용사로서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른 수탁자의 책무를 다하고, 기업활동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성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투자 성과뿐 아니라 사람과 지역, 환경 전반에서 긍정적 변화를 끌어내는 운용사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의 최후 수단으로 새 주인을 찾는 매각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명확한 인수 희망자가 없어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내 매각이 무산되면 최악의 경우 기업을 청산해야 해 10만여개의 직간접 일자리가 사라지고 협력·납품 업체들이 연쇄 도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MBK는 이번 위기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비난이 잇따르자 지난달 24일 정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홈플러스에 2천억원 자금을 추가 증여하고 사회적 책임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금융 관련 사안을 다루는 국회 정무위원회는 14일 국정감사 때 MBK의 창업자이자 수장인 김병주 회장을 증인으로 불러 홈플러스 사태의 해결 방안에 대해 질의할 계획이다.
ta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