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총재 "한국의 경제·재정정책방향, 권고방안과 부합"

기사입력 2025-10-19 14:48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면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10.19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제임스 롱스돈 국제신용평가사 피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면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10.19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IMF/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간) 세계은행에서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 총재와 면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10.19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국제통화기금(IMF) 측이 한국 정부의 경제·재정 정책 방향이 권고 내용과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국재통화금융위원회(IMFC)를 계기로 마련된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IMF는 지난달 한국과의 연례협의를 마치면서 재정개혁을 비롯한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IMF는 "2% 성장률까지 가는 과정에서 지금의 통화·재정정책이 적절하지만, 3% 성장률까지 가려면 구조개혁이 단행돼야 한다"며 인공지능(AI) 도입과 혁신, 서비스 수출 강화, 중소기업-대기업 격차 해소 등을 주문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면담에서 한국 경제의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성장 전략을 설명하면서 전 국민 AI 교육 강화, 데이터 축적 확대, 그리고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언어모델 개발을 통한 생산성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반도체·소형모듈원자로(SMR)·그린수소 초혁신기술에 과감한 투자와 민관 협력 생태계 조성을 통해 AI 기반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해 나가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와의 면담에서는 정부의 핵심 정책과 이에 관한 적극적 재정투자 계획을 공유하고, 이런 노력이 성장률 제고와 중장기 재정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피치 측은 재정 기조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구 부총리는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의 면담에서는 AI의 적절한 활용이 개도국의 생산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한국과 WB 간 관련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구 부총리는 이번 연차총회에서는 한국이 단독 출연하는 디지털 신탁기금 행정협정이 서명 완료된 만큼, 양 기관 간 본격적인 AI 협업의 유용한 창구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IMF는 IMFC에서 글로벌 저성장, 고부채 등의 위기 극복을 위해 회원국들이 재정건전성 회복과 생산성 제고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글로벌 정책방향(GPA)을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이러한 IMF의 정책방향을 높이 평가하고 저성장·고부채 위기를 극복하는 데 각국의 자구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IMF가 강조하는 민간 주도의 잠재성장률 제고 노력의 모범 사례로 한국이 추진 중인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전략을 소개했다.

chaewon@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