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사회탐구를 선택한 수험생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7학년도 수능에는 이 비율이 더 늘어 80%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다음 달 시행되는 2026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한 수험생이 전체의 77.3%로 나타났으며 2027학년도에는 80%를 넘어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전체 응시인원 중 사회탐구 비율은 3월 51.2%, 6월 53.0%, 9월 56.7%로 지속해 확대돼 왔다.
9월 학력평가 기준으로 사회탐구 응시 비율은 전년보다 4.7%포인트(p) 늘어난 수치다.
9월 응시기준으로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는 전년보다 10.0%, 사회문화는 4.6%, 윤리와 사상은 7.0% 각각 증가했다. 전체 사회탐구 9개 과목 응시자는 전년보다 3.8%(1만3천828명) 늘었다.
반면 과학탐구는 화학1이 20.2%, 지구과학1이 13.3%, 생명과학1이 12.6%, 물리학1이 10.7% 각각 감소했다. 과학탐구 4개 과목 전체로 전년보다 14.1%(4만6천973명) 감소했다.
2025학년도부터 주요대 자연계 학과에서 수능 최저 과목 등으로 사회탐구를 인정하면서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행 통합 수능 마지막인 2027학년도에 사탐런 현상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수능 채점 결과 대학입시 유불리에 따라 2027학년도 사탐런 현상은 겨울방학을 기점으로 현재보다 더 커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sungjinpark@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