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애인의 자살 사망률이 전체 인구의 2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장애인의 고의적 자해(자살)로 인한 조사망률(연간 자살 사망자 수를 그해 7월 1일 기준 인구로 나눈 수치를 10만명 단위로 표현한 지표)은 56.7명으로 전년(10만명당 53.1명)보다 3.6명 높아졌다.
장애인 중에서도 남성의 자살 조사망률(73.2명)이 특히 높았다. 여성 장애인의 자살 조사망률은 33.9명이었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의 자살 조사망률이 71.3명으로 가장 높았다. 20∼29세(25.3명), 30∼39세(37.9명), 40∼49세(62.3명)에서는 그보다는 자살 조사망률이 낮았지만, 자살이 각 연령층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빈번했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정신장애(144.2명), 뇌전증 장애(142.3명), 호흡기 장애(136.2명)인의 자살 조사망률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울산(74.1명)과 충남(73.8명)의 장애인 자살 조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의 자살 생각을 줄이기 위해 장애인에 특화된 맞춤형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권혜영 목원대 보건의료행정학과 교수 등은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신 호에 게재한 '성향 점수 매칭 분석을 활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살 생각과 그 영향 요인' 논문에서 "장애인 집단의 작지 않은 규모와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취약성 및 높은 자살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의 자살 연구와 정책은 노인과 청소년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 등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자살 생각 가능성이 1.746배 높았다.
우울감,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수준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살 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공통 요인이었는데, 장애인의 경우 결혼 상태와 취업, 음주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은 균등화 소득에 추가로 영향을 받았다.
연구진은 "장애인의 취업은 사회 참여로 이어져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는 의미를 지닌다"며 "장애인의 취업과 주관적 건강 수준 등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중재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moment@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