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음식과 간편식 이용이 늘고, 스트레스로 인한 폭식이 증가하면서 '음식 중독'이 새로운 생활습관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음식 중독은 단순한 식탐이나 과식이 아니라 특정 음식에 대한 강한 갈망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뇌의 보상 체계가 반복적으로 자극되면서 '먹어야만 한다'는 충동이 강화되고, 섭취 후에는 죄책감이 뒤따르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심리적으로는 죄책감, 자존감 저하, 불안, 우울 증상이 동반돼 대인관계나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치료는 단기간 식단 조절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인지행동치료, 영양 상담, 생활습관 교정이 병행돼야 하고, 필요할 경우 보조적으로 약물치료가 사용된다. 특히 개인의 의지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만큼 가족과 주변의 이해와 지지도 중요하다.
특히 혼자 식사하는 '혼밥' 문화가 확산되면서 음식 중독 위험이 더 높아지고 있다. 혼자 식사할 때는 미리 정한 양만 준비하고, 남은 음식은 바로 치워두는 습관이 필요하다.
무심코 TV나 스마트폰을 보며 먹는 습관도 피해야 한다.
음식은 우리에게 에너지를 주는 필수 요소이지만, 지나친 집착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음식 중독은 단순한 의지 부족이 아니라,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일상 속 작은 습관을 점검하고 필요할 경우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건강한 식습관과 삶의 균형을 지킬 수 있다. 도움말=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서민석 교수
|





![[SC 건강칼럼] "먹어도 먹어도 멈출 수가 없다"…음식 중독, 의지 문…](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0/29/2025102701001640900217052.jpg)
![[SC 건강칼럼] "먹어도 먹어도 멈출 수가 없다"…음식 중독, 의지 문…](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0/29/2025102701001640900217051_w.jpg)
